티스토리 뷰
6월 4일 첫째날인 오늘은 디지털/브랜드 마케팅 기초 챕터의 파트 1과 파트2인 브랜딩과 마케팅 관계, 브랜딩의 이해 파트까지 공부했다.
디지털/브랜드 마케팅 기초
브랜딩과 마케팅 관계
1.개념적 정리
마케팅: 제품 판매. 아이덴티티
브랜딩:이름을 알리는 것. 방향 제시.
요즘은 노출만이 다가 아니라 경험정인 부분이 더 중요하다.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경험을 활용하는 법을 구상할 것.
2.소비사회의 발전
'지적자본론' 소비사회 발전과정 3단계
1st stage - 상품 부족: 상품 자체가 가치를 가짐
2nd stage - 상품 과잉: 상품을 선택하는 장소, 플랫폼이 중요
3rd stage - 플랫폼 과잉: 고객에게 높은 가치를 제안해주는 플랫폼이 중요
3.브랜드 경험관점
소유욕보다 동일시 요구를 자극하는 브랜드가 성공한다.
소비자 시각도 기능과 이성 중심에서 관계와 감성 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브랜딩의 이해
1.브랜딩 개념
Brandr 소유
to burn. 자기 가축에 낙인을 찍어 소유를 나타내는 일에서 유래
단순히 제품과 서비스를 신뢰하는 상징을 넘어서 사용자의 신념을 대변하고 사용자가 자신과 동일시하는 수단
경험과 공유적 성격이 훨씬 강해짐
2.브랜드 이야기
브랜드가 행하는 이야기
브랜드 가치
브랜드 미션을 수행하는 이유와 실천하는 방법을 최소한의 단위로 보여주는 것. 브랜드 가치는 기업이 하는 모든 일과 연결된다.
균형 + 고유가치 + 구체적 가치 + 능동적 가치 + 의도(의도적으로 넣는 단어)
브랜드가 하는 모든 일을 뒷받침하고 형성하는 핵심 아이디어나 전제
- 브랜드 기능: 제공하는 경험의 본질을 정의
- 설명, 수식어: 전달하는 경험의 종류를 명확히 함
- 감정 수식어: 브랜드가 가치나 혜택을 어떻게 전달하는지 고려
유사성(POP) 차별성(POD)를 드러내는 단계
POD: Point of difference. 우리 브랜드만의 차별점. 왜 고객이 당신을 선택해야 하는가?
그래서 우리가 뭘 해줄 수 있는데? 이러한 방향으로 갈 거예요. 힘들면 다섯 번까지 디깅해 볼 것!
추상적인 브랜드를 인격화 시키는 것. 브랜드 페르소나를 도출하는 중요한 단계.
브랜드가 무엇인지 막연하게 알고 있었는데 브랜드가 무엇인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또 브랜딩이란 무엇인지 알게 됐다.
브랜드 개성부분에서 유튜버 회사원a가 "나도 나이가 들어도 저렇게 멋진 미우미우걸이 되고 싶다!"하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 미우미우란 브랜드에 대해 잘 모르겠지만...앞으로 마케터가 되면 고객들이 이런 생각을 갖도록 만드는 일을 하게 될 것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일은 디지털 마케팅의 이해 3~4파트까지 공부할 계획이다.
* 이 글은 제로 베이스 강의 자료를 발췌해 작성되었습니다.